송내동 부지 인근 시설과 사용자 특성에 대해 분석하고, 부동산과 주민을 인터뷰하면서 해당 프로젝트에는 어떠한 수요가 필요한지 부천시는 서울과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고, 해당 부지는 1호선 송내역과 가까워서 수도권 내에서 출퇴근하는 신혼부부의 수요가 있었고, 이들을 위한 공공임대주택을 기획했다.
#2 실효성을 높인 공용 공간
해당 부지의 북쪽에는 주민지원센터가 맞닿아 있었고, 주거시설 밀집지역에 있었다. 도심 내에 부족한 공원의 역할과 함께 주민들이 사용하는 안전한 야외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도로와 맞닿아 보행자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곳에 공개공지를 설치하였다. 공개공지와 연계하여 별동의 주민공동시설인 어린이도서관을 계획하였다. 야외와 연계된 주민공동시설은 확장성을 가지기에 충분하다.
#3 다양한 주거 형태의 수용
균일하지 못한 오각형 형태의 대지에 일조사선까지 더해져 건물이 같은 형태의 세대로만 구성하여 균일하게 적용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우리는 이점을 역이용하여 적정 주거공간에 대한 스터디와 함께 다양한 전용면적과 평면 구성을 통해 여러가지의 유닛을 발전시켜 나갔다. 그 결과 각 유닛 별로 세대 내 테라스 혹은 와이드한 LDK존 등의 특화 요소를 고루 갖출 수 있게 계획하였다.